<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 김수영> 나는 왜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 김수영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오십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 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번 정정당당하게

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십원을 받으러 세번씩 네번씩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옹졸한 나의 전통은 유구하고 이제 내 앞에 정서로 가로놓여 있다

이를테면 이런 일이 있었다

부산에 포로수용소의 제14야전병원에 있을 때

정보원이 너어스들과 스폰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나를 보고 포로경찰이 되지 않는다고

남자가 뭐 이런 일을 하고 있느냐고 놀린 일이 있었다

너어스들 옆에서

 

지금도 내가 반항하고 있는 것은 이 스폰지 만들기와

거즈 접고 있는 일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개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비명에 지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진다

떨어지는 은행나무잎도 내가 밟고 가는 가시밭

 

아무래도 나는 비켜서 있다 절정위에는 서있지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서 있다

그리고 조금쯤 옆에 서 있는 것이 조금쯤

비겁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한다

이발쟁이에게

땅주인에게는 못하고 이발쟁이에게

구청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이십원 때문에 십원 때문에 일원 때문에

우습지 않으냐 일원 때문에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마음 속에 분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아마 석가모니나 예수님도 가끔은 제자들이 답답하고 서운하고, 미웠던 순간이 있지 않았을까. 하지만 적절할 때 분노를 느끼고, 또한 바람직한 방법으로 표현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어디서부터 꼬였는지 모를 감정은 결국 별 것 아닌 일, 괜한 사람에게 불똥을 틔운다. 그래서 그것은 이 땅의 모든 후레자식(?)들에게 가장 만만한 사람인 어머니의 몫이다. 혹은 만만한 친구의 것이다.


  나는 보통 벌컥 화를내지 않는다. 그전에 그 일에 대해 생각하고 곱씹어본다. 그리고 어떻게 화를 내야할지 생각해 본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반복하면서 이것이 꼭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 과정은 그럴듯하게 설명해 놓긴 했지만, 화날만한 상황을 되새기면서 그것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결국에는 참기보단 표출해야 한다고 마음속에서 속삭이고 만다. 게다가 최대한 본능을 억누르고 분노를 표출하려는 나의 욕구는 사실상 상대방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나를 포장하기 위한 것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불의를 보아도 나에게 피해가 없다면 참고 넘기는 세태속에서 나 또한 자유롭지 않음을 반성한다. 당장 내일부터 세상의 부조리를 탈탈 털어 내가 뒤집어 쓸 자신도 의향도 없지마는, 그렇게 나서진 못해도 눈을 감고 귀를 막진 않도록 애쓰려고 한다.


  이 시를 마음 한 구석이 뜨끔할 새 없이 온전히 읽어내려갈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김수영의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는 많은 생각과 깊은 반성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사진은 2008년 경복궁에서)



멍교수
책꽂이/책갈피 2012. 4. 29. 23:36
,
Powerd by Tistory, designed by criuce
rss